동양사람과 서양사람들의 인식의 차이

조직세우기 2010. 8. 8. 13:54

<이 동과 서>는이 단순한 질문에서부터 동서양 사고 방식의 차이와 그 생각의 원리에까지 매우 심도있게 파고드는 문화 철학 다큐 멘터 리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 미국, 영국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거리 실험과 정교한 컴퓨터 그래픽을 통해 우리가 평소 접하기 어려웠던 깊이있는 내용을 더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려한다.
앞선 질문에 대한 결과는 아주 흥미롭다. 한국, 중국, 일본에 사는 대부분의 아시아 사람들은 '원숭이와 바나나'를의 묶었다. 원숭이가 바나나를 먹기 때문. 그러나 놀랍게도 미국, 영국에 사는 서양인들은 같은 동물이라는 이유로 '원숭이와 팬더'를 선택했다. 동양인들은 '개체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두고 생각한 반면, 서양인은 '개체의 속성'을 분석하고 분류하는 방식으로 대답한 것이다. 왜 이런 차이를 보이는 것일까?

서양인들에있어서 본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작용이다. 그래서 데카르트는 인간이 주체가되어 세계에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낫지있는 시각적 능력이 곧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은총 이라고까지 말했다. 이런 경향은 서양화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인 원근법, 즉 투시 법에 잘 나타나는데, 투시 법을 위해서는 관찰자가와 대상이 분리된 상태 여야하고 관찰자가 중심이되어 일인칭 시점으로 대상을 바라보아야한다. 이러한은 서양인들의 일인칭 관찰 자적 시점은 그들 사고 방식의 기초가되었다.

허지만 동양인들은 육체 갖고 눈이이 아니라 바로 마음 갖고 눈을 강조한다. 투시 법처럼 자신의 입장에서 대상을 보려하기보다는 스스로가 하나의 구슬이 된 것처럼 대상을 자기 안에 비춰 담으려한다. 그래서 동양인들은 기본적으로 이인칭 시점을 가지고 사고하게된다. 타인의 시점에서 생각하는데 익숙한 것이다.

그래서이 서양에서는 통 스테이크를 알아서 잘라 먹도록 그대로 내주지만 동양에서는 그저 젓가락으로 집어 먹기만하면 되게끔 잘게 썰어 요리 해준다. 또이 서양 아이들은 자기 중심적이고 독립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교육받는 반면 동양인들은 남과 잘 어울릴 수있는 원만한 성격과 겸손한 행동을 교육 받는다.

이러한 차이점은 동서양의 진리 탐구 방식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는 서양은 여러 관찰자들의 토론과 논쟁을 통해 진실을 찾아 나가는 반면 동양에서는 구슬을 닦듯 마음을 맑게 닦아 온 우주가 구슬에 비춰지는 순간 진리를 깨닫게되는 것이다.

http://cafe.daum.net/lovenav/7wSM/131

http://blog.naver.com/woory0116/20095873433

http://www.cyworld.com/wu2c/2548421


http://blog.naver.com/ecogaea/70081636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