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간 갈등 - 어느 부서가 우위에 있는가!

조직세우기 2010. 8. 5. 14:28

부서갈등

 

 

 

 

 

 

 

이슈

후배가 재정부 팀장이 된 이후 재정부서 직원들과 우리 팀 직원들 사이가 나빠졌습니다.

 

 

이슈의 배경

 

 

 

저는 해외 영업부 팀장입니다. 후배가 재정부 팀장으로 인사이동 된 이후로는 우리 팀원들과 재정부 팀원들이 서로 싸우는 일이 잦습니다.  문제의 원인이 어디 있는지 모르겠고 협조가 안 되다 보니 일하는데도 예전에 없던 문제들이 발생합니다.

 

 

컨설턴트

 

사장님과 후배인 재정부 팀장, 의뢰인의 대리인을 세우고 형태장 안에 흐르는 관계성 봅시다.

 

 

의뢰인 내면의 그림

 

 

3명의 대리인 자를 세운다.  사장 대리인 왼쪽에 재정팀장 대리인을 나란히 세운다.  시선은 둘 다 앞을 향한다.  의뢰인의 대리인을 사장 대리인 오른쪽에 세우니까 재정팀장과 사장 대리인의 시선이 의뢰인 대리인을 향한다.  

 

 

컨설턴트

(대리인들에게)어떠세요?

 

 

재정팀장대리인

평가 받는 느낌입니다.

 

 

사장

대리인

신경 쓰입니다.  거추장스럽습니다.  다른 곳으로 가면 편한 것 같습니다.  

 

 

의뢰인 대리인

재정팀장과 사장이 뭐 하는지 궁금합니다.

 

 

컨설턴트

 

그 자리에 서면 사장님과 재정부를 평가 하느라 일을 못합니다.  자리를 바꿔 보겠습니다.

 

 

내면의 자리교정

 

 

대리인들이 서로 자리를 옮겨 가며 편안한 자리를 찾는다.  재정팀장 대리인이 사장 왼편에 섰다.  그리고 의뢰인의 대리인이 그 다음 서열 자리에 섰다.  의뢰인 대리인은 재정팀장 왼쪽 자리를 가장 편안해 한다.

 

 

의뢰인

 

 

 

저 자리는 아랫자리 아닙니까?  선생님, 제가 선배인데요.  재정부 팀장은 제 후배입니다.  입사 서열도 제가 먼저입니다.  그래도 저 보다 우선하는  자리에 섭니까?

 

 

컨설턴트

 

 

 

 

 

 

회사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부서마다 주어진 기능과 역할이 다릅니다.  기업 생존에 어느 부서가 더 큰 책임을 지고 있는지를 인식해야 합니다.  후배라 하더라도 후배 있는 자리가 기능상 더 큰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에 그 자리를 존중해야 합니다.  그래야 상호협력이 이루어집니다.

 

 

의뢰인의 대리인이 입을 삐죽대며 후배인 재정팀장 대리인 자를 옆 눈으로 흘겨보고 있다.

 

 

컨설턴트

 

 

 

 

대리인의 반응을 보니 의뢰인은 아직 자기 자리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영업부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서 일을 세우겠습니다.  부서 간 매개체인 일을 통해 부서 간에 관계가 강화 됩니다.

 

 

내면의 자리교정

 

 

일 대리인 세우니까 후배를 보고 있던 의뢰인의 대리인을 포함한 모든 대리인들의 시선이 순식간에 일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서 모두의 관계성이 강화되었다.  일을 통해 부서 간 서로 다른 입장이 통합되는 과정이다.    

 

 

의뢰인

 

(숨을 깊게 내 쉬면서) 이제야 제가 중요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드네요.  힘이 생깁니다.

 

 

의뢰인 피드백

 

 

 

 

 

 

후배가 나보다 기능적으로 우선하는 자리에 있다니  왠지 기분은 상하네요.  어째든 그 것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이 존중이라고 하니 할 말은 없지만  후배가 있는 자리가 그렇게 힘 있는 자리인지 사실 몰랐습니다.  과연 내면에서 내가 수용을 할 수 있을지 ................

내용 더 보기

내면태도교정 대표 컨설턴트 유 명 화

유럽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조직세우기' 프로그램을 국내기업에 보급하는 일에 앞장서고 있으며, 가족세우기, 관계세우기, 성과세우기, 비전세우기, 돈세우기등 국내 실정에 맞는 세우기Constellations 교육과정을 개발해서 보급하고 있다.

대학이나 기업에서 제 강연을 요청하실 분들은
제 핸드폰(010-2708-2342)이나 이메일(y7m7h7@naver.com)로 연락주세요.

<강연, 프로그램 및 컨설팅 분야>

기업

조직활성화, 중역코칭, 성과관리, 창의성, 갈등관리, 의사소통, 관계개선,

직장인

커리어 개발, 인간관계, 리더십, 에니어그램, 무의식 코칭, 지금미래 관련

일반인

가족관계, 부부관계, 자녀관계, 가족치료 및 대화법 훈련과정